이건 아주 특수한 경우에 사용하는 거다.
블로그 글을 쓸 때 최근에 일단은 마크다운으로 작성하기 시작했다. 그리고 html로 변환해서 올린다. 그리고 구글 일본어 번역기로 가서 마크다운 텍스트를 넣고 바로 번역시킨다. 번역된 결과를 복사한다. 그리고 이것저것 정돈을 한다. 그 뒤 찾기 바꾸기로 파일을 정리한 다음 올리곤 했는데, 그냥 펄 스크립트로 만들었다. 앞으론 구글 번역기로 돌린 다음 그냥 이 펄 스크립트에 집어 넣어서 나온 결과물을 일본어 블로그에 바로 올리면 된다. 참고할 사람은 참고하시길.
파일명은 arrange-translate.pl
이다. 실행권한을 줘야 한다는 걸 잊지 말고. 터미널에서 돌리는 놈이라는 것도 잊지 말길.
#!/usr/bin/perl
use strict;
use warnings;
use feature 'say';
use Data::Dumper;
use File::Basename;
use File::Spec;
our @content;
our $name;
our $path;
our $suffix;
our $new_filepath;
if( ! $ARGV[0]){
say "Write filepath. for example, arrange-translate.pl /my/path/my/filename";
exit;
}
open (MYFILE, $ARGV[0]);
@content = ();
our $index = 0;
while (<MYFILE>) {
chomp;
if($_ eq '' and $index == 0){
$index++;
next;
}
$index++;
$_ =~ s/\<\/ /\<\//g;
$_ =~ s/\< \/ /\<\//g;
$_ =~ s/\[\/ /\[\//g;
$_ =~ s/(/(/g;
$_ =~ s/)/)/g;
$_ =~ s/!/!/g;
$_ =~ s/@ /@/g;
$_ =~ s/#/#/g;
$_ =~ s/ \^ \= /\^\=/g;
$_ =~ s/ / /g;
$_ =~ s/:/: /g;
$_ =~ s/: /: /g;
$_ =~ s/ __/__/g;
$_ =~ s/^\*/\* /g;
$_ =~ s/】/\]/g;
$_ =~ s/http :\/ \/ /http:\/\//g;
$_ =~ s/`([a-zA-Z\-\_ \:\@]*)'/`$1`/g;
$_ =~ s/'([a-zA-Z\-\_ \:\@]*)`/`$1`/g;
# pre 안의 코드
if( index($_, ' ') == 0 || index($_, '/\t/') == 0 ){
$_ =~ s/、/, /g;
$_ =~ s/。/./g;
$_ =~ s/([a-z]) \[/$1\[/g;
}
push (@content, $_);
}
close (MYFILE);
# 새 파일 이름을 만들기 위해
($name,$path,$suffix) = fileparse($ARGV[0], qr/\.[^.]*/);
$new_filepath = $path . $name . '-arranged' . $suffix;
say "Arranged file is ", $new_filepath;
open (FILE_TO_WRITE, '>' . $new_filepath);
for (@content) {
say FILE_TO_WRITE $_;
}
close (FILE_TO_WRIT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