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눅스에서 특수문자 입력할 때 입력기를 타지 않고 특문을 입력할 수 있는 방법이다. 정확히 말하면 유니코드 문자 코드를 바탕으로 문자를 입력하는 것이니 특문만 입력 가능한 것은 아니다. 여하간 특문을 입력할 때 이게 속편해서 이걸 사용하고 있다. 방법은, 영문 입력 모드로 변경한 뒤 Ctrl+Shift+u를 누르고, 아래 적은대로 유니코드 숫자를(0부터 f까지 16진수다) 입력한 뒤 엔터를 치는 것이다. 참고용으로 해당 특수문자의 영문 이름도 쓰다가 … 말았다.
유니코드 문자를 검색하는 데는 https://unicode-table.com 같은 사이트가 유용하다. smile 같은 단어로 검색하면 웃음에 관한 특수문자를 쭉 보여 준다. 거기서 U+
로 시작하는 코드를 찾아 U+
를 제외하고 여기서 입력하면 된다.
- 00b7: · (Middot, 가운뎃점)
- 2014: — (Em Dash, 줄표)
- 2018: ‘ (Left Single Qutation Mark)
- 2019: ’ (Right Single Qutation Mark)
- 201c: “ (Left Double Qutation Mark)
- 201d: ” (Right Double Qutation Mark)
- 3008: 〈 (좌측 홑화살괄호)
- 3009: 〉 (우측 홑화살괄호)
- 300a: 《 (좌측 겹화살괄호)
- 300b: 》 (우측 겹화살괄호)
- 22ef: ⋯ (줄임표)
- 2192: →
- 2665: ♥
- 203b: ※
- 25cb: ○
- 2630: ☰ (햄버거 메뉴용 문자)
- 00d7: × (곱하기표)
- 25b6: ▶
- 25c0: ◀
- 25cf: ●
- 261e: ☞
- 1f449:
- 1f6a9:
- 00a9: ©
- 2665: ♥
- 2800: ⠀(공백문자. 인스타그램용)
- 22ee: ⋮ (수직 말줄임표)
- 270a: ✊ (주먹)
- 1f44a: (주먹)
- 1f44f: (박수)
- 1f603: (웃음띤)
- 1f604: (웃음)
- 1f613: (땀)
- 2615: ☕ (커피)
- 2611: ☑ (checked)
- 25aa: ▪ (black_small_square)
- 1f4f0: (newspap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