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pringBoot 다국어 지원 설정 가이드

참고자료: Guide to Internationalization in Spring Boot

의존성 추가

spring-boot-starter-thymeleaf를 추가해야 한다. 사실 타임리프는 스프링부트에서 기본으로 의존성을 포함해 뒀을 것이므로 이 단계를 해야 하는 경우는 거의 없을 것이다.

만약 의존성이 포함돼 있지 않다면 포함시킨다. 메이븐이라면 아래 코드를 사용한다. 2019년 4월 14일 현재 최신 버전은 2.1.4.RELEASE다. 물론 자신의 스프링부트 버전을 따라야 하므로 최신 버전이 뭔지는 이 자체로는 큰 의미가 없다.

<dependency>
    <groupId>org.springframework.boot</groupId>
    <artifactId>spring-boot-starter-thymeleaf</artifactId>
    <version>2.1.4.RELEASE</version>
</dependency>

그래들(gradle)이라면 아래처럼 코드를 추가한다. 버전을 적지 않으면 스프링부트 버전을 따르는 듯.

compile('org.springframework.boot:spring-boot-starter-thymeleaf')

Config 클래스를 만든다

아래 코드를 참고하면 된다.

package com.tachyonlab.webclient.config;

import org.springframework.context.annotation.Bean;
import org.springframework.context.annotation.Configuration;
import org.springframework.web.servlet.LocaleResolver;
import org.springframework.web.servlet.config.annotation.InterceptorRegistry;
import org.springframework.web.servlet.config.annotation.WebMvcConfigurer;
import org.springframework.web.servlet.config.annotation.WebMvcConfigurerAdapter;
import org.springframework.web.servlet.i18n.CookieLocaleResolver;
import org.springframework.web.servlet.i18n.LocaleChangeInterceptor;

import java.util.Locale;

@Configuration
public class LocaleConfig extends WebMvcConfigurerAdapter implements WebMvcConfigurer {

    @Bean
    public LocaleResolver localeResolver() {

        CookieLocaleResolver cookieLocaleResolver = new CookieLocaleResolver();
        cookieLocaleResolver.setDefaultLocale(Locale.KOREAN);
        cookieLocaleResolver.setCookieName("APPLICATION_LOCALE");
        return cookieLocaleResolver;
    }

    @Bean
    public LocaleChangeInterceptor localeChangeInterceptor() {
        LocaleChangeInterceptor lci = new LocaleChangeInterceptor();
        lci.setParamName("locale");
        return lci;
    }

    @Override
    public void addInterceptors(InterceptorRegistry registry) {
        registry.addInterceptor(localeChangeInterceptor());
    }

}

나는 기본 로케일을 한국어로 설정했다.

그리고 쿠키 기반 로케일 설정을 사용한다. 원래 예제는 페이지별로 url의 lang 파라미터를 받아서 판단하게 돼 있다(세션 기반).

쿠키 리졸버를 사용하는 것으로 설정하면 스프링이 알아서 쿠키를 처리한다.

아래부터는 위 코드의 각 부분에 대한 설명이다.

클래스 정의부 extends, implements

public class LocaleConfig extends WebMvcConfigurerAdapter implements WebMvcConfigurer {
	// ...
}

클래스 정의부인데, extends WebMvcConfigurerAdapterimplements WebMvcConfigurer가 다 있어야 한다.

implements WebMvcConfigurer만 있으면 WebMvcConfigurer 인터페이스에 있는 메서드를 다 구현해야 한다. 그걸 해 놓은 게 WebMvcConfigurerAdapter이므로 이걸 상속받으면 해결된다.

LocaleConfig라는 클래스 이름은 임의로 정한 이름이므로 자유롭게 고칠 수 있다.

로케일 결정 Bean

@Bean
public LocaleResolver localeResolver() {

    CookieLocaleResolver cookieLocaleResolver = new CookieLocaleResolver();
    cookieLocaleResolver.setDefaultLocale(Locale.KOREAN);
    cookieLocaleResolver.setCookieName("APPLICATION_LOCALE");
    return cookieLocaleResolver;
}

로케일1을 결정하는 빈을 생성한다. 로케일 결정자(Resolver) 종류엔 세션(SessionLocaleResolver), 쿠키(CookieLocaleResolver), 헤더(AcceptHeaderLocaleResolver, 헤더의 Accept-Language 값 기반으로 판단), 고정값(FixedLocaleResolver) 리졸버가 있다. 내 코드에선 쿠키 기반 로케일 결정을 사용했다.

setDefaultLocale()을 사용해 쿠키명을 APPLICATION_LOCALE로 설정해 줬다. 언어를 변경하면 해당 쿠키가 설정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언어 변경법은 아래서 설명한다.)

setDefaultLocale()로 기본 로케일을 설정하는데, 인자값으로 Locale 클래스를 넣어 줘야 한다. 자동완성이 잘 되므로 원하는 로케일을 찾아서 Locale.KOREAN 식으로 넣어 주면 된다.

로케일 변경 Interceptor Bean

@Bean
public LocaleChangeInterceptor localeChangeInterceptor() {
    LocaleChangeInterceptor lci = new LocaleChangeInterceptor();
    lci.setParamName("locale");
    return lci;
}

url 파라미터를 받아서 로케일을 변경하는 방법을 설정하는 부분이다. 위 코드대로 하면 https://domain.com?locale=en으로 들어왔을 때, APPLICATION_LOCALE 쿠키가 en으로 설정되면서 로케일이 변경된다.

위 코드에선 인자값을 locale로 설정했지만, 원하는대로 설정하면 된다.

인터셉터 목록에 인터셉터를 등록

@Override
public void addInterceptors(InterceptorRegistry registry) {
    registry.addInterceptor(localeChangeInterceptor());
}

위 코드는 localeChangeInterceptor()를 스프링의 인터셉터 목록에 등록하는 코드다. 이렇게 하지 않으면 작동하지 않는다.

@Override라는 어노테이션을 통해 유추할 수 있겠지만, WebMvcConfigurer가 정의한 것을 구현한 것이다.

번역 파일 위치와 형식

번역 파일을 둘 위치는 src/main/resources 폴더다. 파일명을 규칙에 맞게 해야 하는데, 기본 로케일의 파일명은 messages.properties로 하면 된다. 다른 언어는 messages_{locale code}.properties로 만든다. 즉, 한국어라면 messages_ko.properties, 영어라면 message_en.properties로 파일을 만든다.

파일 내용은 자바의 프로퍼티 파일 형식을 따라 아래처럼 만든다.

greeting=안녕하세요
lang.change=언어 변경

키값을 한글로 해도 작동하는데, 키값에 띄어쓰기가 들어가선 안 된다.

파일명에 .이 들어가면 안 된다.

찾아 보니 yaml로 하는 방법도 있는 듯한데, 해 보진 않아서 적지 않는다.

번역 메시지 파일에 찾는 키가 없으면 기본 로케일 메시지 파일의 값을 사용한다고 한다.

HTML 페이지에서 사용하는 방법

thymeleaf를 사용하면, #{key} 문법을 사용하면 된다. 아래처럼.

<h1 th_text="#{greeting}"></h1>

아래처럼 쓸 수도 있다.

<h1>[[#{greeting}]]</h1>

jsp를 사용하면 아래처럼 쓴다.

<h1><spring:message code="greeting" text="default"/></h1>
  1. 로케일(Locale)의 뜻은 장소다. 개발에선 {언어}_{지역} 순으로 사용하는 언어 코드를 가리킨다. 같은 언어도 지역별로 차이가 있기 때문에 이런 구분이 필요하다. en_US는 미국 영어, en_GB는 영국 영어를 가리킨다. ko_KR은 한국어, ko_KP는 북한어를 가리킨다. 이 예제에서 보듯, 지역을 빼고 언어 코드만 사용하는 경우도 많다. 

👇 카테고리 글 목록

대표글

댓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