윈도우, 맥에서 IntelliJ 톰캣 로그 한글이 깨질 때

, ,

IntelliJ에서 테스트한 건데, 아마 이클립스도 비슷하지 않을까 싶다.

윈도우랑 맥은 한글 터미널 인코딩이 CP949(혹은 EUC-KR)이다. 그래서 자바는 CP949로 한글을 뿌리는데, IntelliJ는 UTF-8로 인코딩을 해석해서 보여 주기 때문에 한글이 깨지는 것이다. 이런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방법이다.

여튼간에 서버 설정(메뉴 기억 안 난다. 잘 찾아 보시길)에서 VMOptions에 아래처럼 써 준다.

-Dfile.encoding=UTF-8

톰캣을 자바로 시작할 때 붙이는 인자값이니, 적당한 곳에 얼마든 응용할 수 있을 것이다.

카테고리

, ,

17년차 풀스택 웹 개발자 안형우입니다

웹 개발에서도 중요한 것은 개념입니다.
이 블로그에는 제가 개발하며 익힌 개념들을 정리합니다.

워드프레스를 오래 다뤄 왔고 강의도 두 편 찍었습니다.
– 인프런 “워드프레스 제대로 개발하기 어드민 편, 클라이언트 편
– 클래스101 “누구나 할 수 있는 워드프레스 홈페이지 만들기 – 기획부터 출시까지 한 방에 OK

유튜브 채널에 워드프레스 관련 팁들을 올리고 있습니다.

👉 소개 더 보기

대표글

댓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