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jaxAutoSave는 FCKeditor의 플러그인이다. 글을 쓰는 중간에 자동저장하는 플러그인이다.
자세한 건 나중에 적겠다. 영어에 자신감을 갖고(;;) 다음 설명서를 열심히 해석해 보면 어떻게 하는지 금방 알 수 있을 것이다. 별 얘기 없다.
FCKeditor ajaxAutoSave Plug-in 설명서
수정해 줘야 할 게 있다. 필요한 정보는 자신의 DB인코딩이다.
ajaxAutoSave의 파일, saveAdapter.php를 열고 한 줄을 추가해 준다. 아래 강조표시한 줄이다.
// trigger the appropriate command $_REQUEST['content'] = rawurldecode($_REQUEST['content']); switch ($_REQUEST['action']) { case 'save' : saveAdapter::saveToDatabase($_REQUEST['content']) ; case 'draft' : saveAdapter::saveToDatabase($_REQUEST['content'], true); }
그다음, saveAdapter.class를 연다. 여기서는 70번째 줄에 다음을 추가해 준다.
// Connect to database function dbConnect($host, $username, $password, $database) { global $dbStatus; if($dbStatus['Connected']) { return true; } if (!mysql_connect($host, $username, $password)) { return 'Connect: ' . mysql_error(); } if (!mysql_select_db($database)) { return 'DB_SELECT: ' . mysql_error(); } @mysql_query("set names UTF8"); return $dbStatus['Connected'] = true; }
나는 DB의 인코딩이 UTF8이기 때문에 저렇게 했는데, 만약 EUCKR을 쓰면 EUCKR이라고 써주면 될 터.
자세한 설명은 다음 포스팅에서 하기로 한다.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