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php.net/manual/kr/function.print-r.php
print_r()은 변수에 대한 정보를 사람이 읽을 수 있는 방법으로 표시합니다.
print_r(), var_dump(), var_export()는 PHP 5에서 객체의 protected와 private 프로퍼티도 보여줍니다. 정적 클래스 멤버는 보여주지 않습니다.
print_r()은 배열 포인터를 마지막으로 이동합니다. 처음으로 되돌리려면 reset()을 사용하십시오.
이런 걸 잘 알면 도움이 많이 된다.
<pre>
<?php
$a = array (‘a’ => ‘apple’, ‘b’ => ‘banana’, ‘c’ => array (‘x’, ‘y’,‘z’));
print_r ($a);
?>
</pre>
$_SERVER나 $_POST, $_GET 등 기본 환경변수의 내용을 보는 데 사용하면 유용하다.
(xmp 태그로 감쌀 수도 있다. 배열 안에 html이 들어있을 경우 사용하는 것도 나쁘지 않을 수 있다. pre는 html을 렌더링해서 보여 주기 때문이다. html 코드를 출력하려면 < 따위 특수문자로 써 줘야 한다. 그러나 xmp 태그가 (아마도 보안 문제로) 향후 html5에서 지원이 중단될 것이라는 점을 알아 두는 게 좋을 것이다. 만약 배열 안에 html이 들어있다면 그냥 소스보기를 하면 코드를 볼 수 있다.)
안녕하세요. 보통 print_r 을 사용할 때 pre tag 도 많이 사용하지만, xmp tag 도 유용합니다.
pre는 html 내용을 해석하기 때문에, html코드를 그대로 볼 때 불편한점이 있거든요.
xmp는 html을 포함한 모든 문자열을 plain 하게 보여주기 때문에 개인적으로는 xmp를 자주 사용합니다.
d_print($dbgStr)
{
echo “
print_r($dbgStr);
echo “
}
디버깅에 참고하세요~ : ))
네. ^^ 감사합니다.
다만 주의할 점이 있어요. xmp 태그는 html5부터 지원을 중단하게 됩니다.(물론 브라우저들은 지원을 계속할 수도 있겠지만 말입니다.) 제가 알기로는 보안상 약점 때문에 pre 사용을 더 권장하고 있습니다.
http://www.w3schools.com/html5/tag_xmp.asp
아항 그렇군요. html5에서는 빠지는군요. 좋은 정보 얻어갑니다. ^^
넵. ^^ 앞으로도 좋은 조언 많이 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