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Go Back
안형우

안녕하세요. 14년차 풀스택 웹개발자 안형우입니다. 이 블로그에서는 WordPress, PHP, CSS, 사용성, 리눅스 서버 등 풀스택 웹개발에서 마주하는 다양한 문제 상황과 해결책, 필요한 개념들을 다룹니다. 👉 소개


작업물

📌 CSS가 어려운 이유 — 프로젝트 중심 실전 CSS 강의 소개 2023-04-13
📌 워드프레스, 답답한 빌더와 플러그인 대신 시원하게 커스터마징하기(강의) 2023-01-15
📌 아무도 말하지 않는 PHP의 좋은 점 2018-10-13
📌 유지보수하기 쉬운 CSS 전략(슬라이드) 2016-12-20
📌 워드프레스 테마에서 템플릿 파일 매칭 순서 2013-05-12
📌 [번역] CSS 코드 냄새 2013-01-01

rsync 간단 사용법(로컬 원격 모두)

rsync는 폴더를 동기화해 주는 프로그램이다. 리눅스 등 유닉스 계열에서 사용하는 듯. 서버 관리자라면 알아 두는 게 좋을 것이고, 뭔가 백업과 동기화가 필요한 작업을 하는 분도 알아 두는 게 좋을 듯. 로컬에서도 작동하고 원격으로도 작동한다.

내가 사용한 명령어는 아래와 같다.

rsync -av --exclude=.svn --delete --delete-excluded /source /destination

위와 같은 명령어를 사용할 수 있다.

각 옵션은 rsync -h 로 설명을 보고 꼭 확인해 보기 바란다. 일단 위에 쓴 것만 설명하면,

-a : 설명을 보면 아카이브 모드라고 써 있다. 이 옵션을 빼고 실행하니까 -r이나 -d 옵션을 주지 않으면 실행이 안 된다고 에러가 떴다. -r은 디렉토리로 재귀한다(recurse into directories)고 설명돼 있다. 하위 폴더까지 복사한다는 말이다. -d는 재귀하지 않고 디렉토리를 옮긴다(transfer directories without recursing)고 써 있다. 하위 디렉토리를 복사하지 않는다는 걸로 이해된다. 이렇게 하면 디렉토리‘만’ 옮기는 것 같다. 여튼 다른 블로그에서 봤을 때 -a가 옵션으로 붙어 있었으므로 나도 사용했다. 그 뿐이다.

-v : -av는 a 옵션과 v 옵션을 동시에 사용한 거다. v 옵션은 작업 상황을 텍스트로 보여주라는 옵션이다. 이 옵션을 주지 않으면 작업이 성공했다는 메세지도 안 나온다. 원래 쉘은 그런 거다. 아무 반응이 없으면 성공인 거다.

--exclude=.svn : .svn은 빼고 동기화 하라.

--delete : 원본 소스에 없는 놈은 목표 폴더에서도 지워라.(원본 폴더에서 지운 파일이 있다면 백업쪽에도 반영시키라는 말이겠죠?)

--delete-excluded : --exclude에 지정된 놈도 목표 폴더 쪽에서 지워라.(백업할 필요 없는 놈은 백업하지 말라는 말이죠 ㅋ)

이상이다.

윈도우에서 사용하기

자료를 백업하기 위해서 1테라짜리 하드를 하나 사 뒀다.

이놈을 네트워크 드라이브인 z로 잡아 뒀다.

처믐엔 allway sync 같은 프로그램을 이용하려고 했지만, 이놈은 처음엔 무료고 일정 용량 이상 싱크를 하면 더이상 사용을 하지 못하는 놈이었다. 당했다 ㅡㅡ;;

그래서 이놈저놈 찾다가 그냥 rsync를 이용하기로 했다. 최고로 안정적인 무료 프로그램 아닌가 ㅡㅡ;;

그리고 난 프로그래머! cui따위 두렵지 않아!!! ㄷㄷㄷ;;

그래서 일단 윈도우에서 rsync를 사용하기 위해 cygwin을 설치했다.

cygwin은 윈도우에서 unix 프로그램들을 사용할 수 있게 해 주는 프로그램이다. 좀 눈이 돌아갔지만 무사히 설치했다.

그리고 아래 명령어를 이용해서 깔끔하게 끝냈다.

rsync -av --delete /cygdrive/c/backup /cygdrive/z

이상!

원격에서 하기

원격 rsync 는 ssh를 사용한다. 서버컴에서 192.168.0.2 의 ~/backup 폴더로 백업할 때 아래 명령을 사용하면 된다. 192.168.0.2 원격 컴퓨터의 사용자 이름은 mytory 라고 가정한다.

rsync -avzO /serverComputer/backup [email protected]:~/backup

-z 옵션은 전송시 압축을 해서 보내라는 거다. 그럼 받는 쪽에서 압축을 푼 다음에 받게 될 거다.(아마)

~/backup 에서 ~ 기호는 home 폴더를 의미한다. cd ~ 라고 터미널에 쳐 보라.

위 명령을 치면 암호를 입력하라고 나온다. 암호 입력 과정을 생략하고 싶다면, ssh 사용시 암호 입력 과정을 생략할 수 있도록 키를 생성하는 방법을 참고하라.

안녕하세요. 14년차 풀스택 웹개발자 안형우입니다. 이 블로그에서는 WordPress, PHP, CSS, 사용성, 리눅스 서버 등 풀스택 웹개발에서 마주하는 다양한 문제 상황과 해결책, 필요한 개념들을 다룹니다. 👉 소개


작업물

댓글 (2개)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