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3C와 WHATWG1는 다른 조직이다.
W3C는 2021년 4월 20일 현재 437개 회원사를 가진 조직이다. 웹의 창시자인 팀 버너스 리가 1994년에 만들었다. (참고: 한글 위키피디아 W3C )
WHATWG은 W3C가 의사결정이 느리다는 이유로 애플, 모질라 재단2, 오페라 소프트웨어3가 모여서 2004년에 만든 그룹이다. 지금은 애플, 모질라, 구글과 마이크로소프트 4개사가 핵심그룹(Steering Group)이다. (참고: 영문 위키피디아 WHATWG)
웹의 역사에서 WHATWG의 주요 역할은 2007년에 HTML5 명세를 W3C에 제안해 이를 기반으로 HTML5가 만들어지게 한 것이다.
이후 2011년까지 W3C와 WHATWG는 같은 편집자(이안 힉슨)가 운영하며 협력하는 관계였다.(출처: W3C HTML5.2 역사)
2012년에 서로 목표가 다르다는 점을 밝히면서 편집팀을 분리했다. 주요 브라우저 벤더들로 구성된 WHATWG는 새로운 기능을 구현하는 데 더 관심이 있었던 것이다. 이후 2019년까지는 각자 표준을 발표했다.
그리고 2019년에 결국 WHATWG가 이겼다. W3C와 WHATWG이 양해각서를 체결하고, WHATWG의 Living Standard를 HTML과 DOM 명세 표준으로 삼기로 했다. 그래서 현재 w3.org/TR/html5에 접속하면 WHATWG의 Living Standard 페이지로 이동한다.
HTML5.3은 개발이 중단됐다. 현재 HTML5.3 페이지에 접속하면 아래와 같은 경고문이 떠있다.
이 문서는 종료됐고 더이상 기술적 작업에 사용되면 안 됩니다. 대신에 HTML Living Standard를 보세요. 그리고 whatwg/html 레포지토리에 이슈를 보고하세요.
W3C의 마지막 HTML 표준(Recommendation)4은 2017년에 발표한 HTML5.2가 됐다.
-
Web Hypertext Application Technology Working Group. 왓위지, 왓위그, 왓더블유지 등으로 읽는다. 출처: whatwg FAQ ↩
-
파이어폭스 브라우저의 개발사다. ↩
-
오페라 브라우저의 개발사다. ↩
-
온전히 번역하면 권고안이겠지만, 이게 웹표준을 말하는 것이므로 이해를 돕기 위해 여기서는 표준이라고 번역했다. MDN HTML 요소 설명 문서의 하단 표에 나와 있는 W3C의 Recommendation이 W3C가 발표했던 표준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