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uit.css 소개 – 외양에 관여하지 않는 OOCSS 프레임워크

,

CSS 프레임워크를 사용하면 효율도 향상되고, 구조도 깔끔해진다는 이야기를 여러 군데서 읽었다. 그래서 한 번 사용해 보기로 생각하고 여러 프레임워크를 찾아 봤다.

그 때쯤 OOCSS에 대해서도 알게 됐었다. CSS를 모듈 방식으로 짜서 중복을 최소화하는 CSS 코딩 기법이었다. 마음에 쏙 들었다. 그래서 OOCSS를 차용한 CSS 프레임워크를 찾았다. 두 개를 발견했는데 inuit.css가 맘에 들었다. cascasde라는 신생 OOCSS 프레임워크는 디자인을 포함하고 있어 매력적이지 않았다. inuit.css는 디자인을 배제한 채로 틀만 제공하는 CSS 프레임워크였다.

inuit.css는 IE8까지만 지원한다. IE7까지 지원하고 싶다면 v4.1.5를 사용해야 한다.

디자인을 배제한 채 틀만 제공하기 때문에 생기는 장점

트위터의 부트스트랩을 생각해 보자. 내비게이션 스타일, 버튼 스타일, 폼 스타일 등이 정해져 있다. 미리 정의된 CSS를 붙이기만 하면 디자인은 알아서 따라온다. jQueryUI도 마찬가지다. 이미 디자인이 돼 있다. 테마를 스스로 제작할 수 있도록 테마 롤러가 준비돼 있어 다양한 색을 사용할 수 있지만 전체 스타일을 변경하기란 힘들다.

그런데 흔히 웹사이트를 제작할 때, 디자인은 디자이너가 한다. 부트스트랩이나 jQueryUI를 디자이너의 디자인에 맞춰서 커스터마이징하는 건 어렵고 삽질인데다가 죄악이다. (죄악이라는 건 유지보수 용이성을 엄청나게 희생하게 될 게 뻔하기 때문에.) 미리 디자인돼 있는 프레임워크를 원한다면 부트스트랩이나 jQueryUI를 사용하면 될 테지만, 디자이너의 디자인을 구현하는 경우가 더 많다면 디자인이 포함돼 있지 않은 CSS 프레임워크를 골라야 한다. inuit.css가 바로 그런 프레임워크다.

포함하고 있는 모듈들

이 프레임워크를 이용하면 어떤 장점이 있는지 알아야 할 거다.

grid 모듈

레이아웃 안 잡는 웹사이트는 없다. 레이아웃은 CSS 프레임워크가 기본적으로 제공해야 하는 기능이고, 당연히 inuit.css도 레이아웃 기능을 제공한다. (inuit.css의 그리드 예제)

1:3으로 화면을 분할하는 레이아웃은 아래처럼 잡는다.

<div class="grid">
    <div class="grid__item one-quarter">
        사이드바나 뭐 그런 거
    </div><!--

    --><div class="grid__item three-quarters">
        본문 영역
    </div>
</div>

(주의할 점이 있다. </div><div class="grid__item three-quarters"> 사이에 <!-- --> 이렇게 주석 처리가 들어가 있다. inuit.css는 그리드를 나눌 때 inline-block을 사용한다. 요소 사이에 공백이 들어가면 그리드가 깨지게 된다. 그래서 주석처리로 공백을 없애는 것이다.)

써 보면 알겠지만, 레이아웃을 잡는 게 진짜 편해 진다. 레이아웃 안의 레이아아웃을 잡는 경우도 많으니까. 그 때마다 CSS를 건드릴 거 없이 그냥 프레임워크에 정의돼 있는 클래스를 가져다 사용하면 된다.

사용해 보면 알겠지만, 여백도 기본으로 들어간다.

여백 너비는 설정에서 정한다. 설정 방법은 아래쪽에서 설명한다. 일단 장점이나 좀 더 보자.

이미지 목록 같은 데 사용하는 multi-list 모듈

상품을 진열할 때 이미지 목록을 많이 사용한다. 이건 여러 군데서 반복되는 패턴이다. 큰 이미지 목록도 있을 수 있고 작은 이미지 목록도 있을 수 있다. inuit.css는 multi-list라는 클래스로 이걸 단박에 해결한다.

아래 예제를 보자.

<div class="image-list">
  <ul class="multi-list five-cols">
    <li>
      <img src="https://placekitten.com/100/100">
      <p>Good!</p>
    </li>
    <li>
      <img src="https://placekitten.com/100/100">
      <p>Good!</p>
    </li>
    <li>
      <img src="https://placekitten.com/100/100">
      <p>Good!</p>
    </li>
    <li>
      <img src="https://placekitten.com/100/100">
      <p>Good!</p>
    </li>
    <li>
      <img src="https://placekitten.com/100/100">
      <p>Good!</p>
    </li> 
    <li>
      <img src="https://placekitten.com/100/100">
      <p>Good!</p>
    </li>
    <li>
      <img src="https://placekitten.com/100/100">
      <p>Good!</p>
    </li> 
    <li>
      <img src="https://placekitten.com/100/100">
      <p>Good!</p>
    </li>
    <li>
      <img src="https://placekitten.com/100/100">
      <p>Good!</p>
    </li>
    <li>
      <img src="https://placekitten.com/100/100">
      <p>Good!</p>
    </li>
    <li>
      <img src="https://placekitten.com/100/100">
      <p>Good!</p>
    </li>
    <li>
      <img src="https://placekitten.com/100/100">
      <p>Good!</p>
    </li> 
  </ul>
</div>

위 코드의 결과는 아래와 같다.

이런 게 OOCSS에서 중복을 줄이는 방법이다. 비슷한 패턴에 죄다 multi-list 클래스를 사용하면 된다. 추가로 해 줘야 하는 것에만 자신의 클래스를 붙이면 된다. 위의 예제에서 내가 겉을 감싸는 divimage-list 클래스를 붙인 것처럼 말이다.

내비게이션(nav) 모듈

다음은 내비게이션 모듈이다. 아래처럼 쓰면 가로 내비게이션이 만들어진다.

<ul class=nav>
   <li><a href=#>Home</a></li>
   <li><a href=#>About</a></li>
   <li><a href=#>Portfolio</a></li>
   <li><a href=#>Contact</a></li>
</ul>

media 모듈

OOCSS를 유명하게 한 그 미디어 모듈도 당연히 포함돼 있다. 미디어 모듈이란 아래와 같은 걸 간편하게 만들어 주는 모듈을 뜻한다.

코드는 이렇게 생겼다.

<div class="custom-wrapper">
    <div class="media">
        <img src="http://placekitten.com/100/100" alt="" class="media__img">
        <p class="media__body">
            <h2>This is Title</h2>
            Lorem ipsum dolor sit amet, consectetur adipisicing elit, 
            sed do eiusmod tempor incididunt ut labore et dolore magna aliqua.
        </p>
    </div>
</div>

전체 모듈 목록

이 외에도 inuit.css가 제공하는 모듈은 이렇게 많다. 다음의 한 항목은 한 파일에 들어 있다. 주석으로 설명이 달려 있고 웬만하면 예제도 있으니 궁금할 땐 파일을 열어서 보면 된다.

Base

  • code : 코드 관련 클래스. .code-comment.line-number 같은 클래스도 포함돼 있다.
  • forms : 폼의 기본 스타일. .additional이나 .check-list, .spoken-form, .extra-help 같은 클래스가 포함돼 있다. inuit.css에서는 폼을 li 안에 넣도록 상정하고 있다.
  • headings : 제목 요소들의 사이즈를 정의하고 있다. h1, h2, h3 등 대신에 .alpha, .beta, .gamma 등의 클래스 이름을 사용할 수 있게 한 게 특징적이다. 이에 대한 설명은 Pragmatic practical font sizing in css에서 볼 수 있다.
  • images : 이미지 스타일 정의. inuit.css는 기본적으로 img 태그에 max-width:100%;를 매겨 놨다. 그리고 imgwidthheight 속성이 있으면 max-width를 해제한다. 그 외 .img--round, .img--right, .img--left, .img--center, .img--short, .img--medium, .img--tall 같은 클래스가 있다.
  • lists : 목록 스타일이다. li 안의 ul, olmargin-bottom을 0으로 하고 있다. 이 외 ul.numbered-list 클래스를 붙이면 ol과 같아지게 만드는 정의가 있다.
  • main : html 태그에 대한 정의가 들어 있다.
  • paragraphs : .lede, .lead라는 클래스가 들어있다. ‘발문’에 해당하는 클래스인데, 글자 크기를 1/8 키우는 게 내용이다.
  • quotes : q, blockquote 태그에 관한 정의가 있고, .source라는 클래스가 있다. 이건 출처를 밝히는 클래스인 듯. 이 파트에 참고할 글로 Quoting and citing with \<blockquote>, \<q>, \<cite>, and the cite attribute를 추천해 놓고 있다.
  • smallprint : 작은 글자 크기에 사용할 클래스를 정의해 놓고 있다. .smallprint, .milli가 작은 글자, .micro가 아주 작은 글자다.
  • tables : 테이블 모양을 정의하고 있다. td.numerical을 쓰면 정렬을 오른쪽으로 바꾼다. 그 외 rowspancolspan에 따라 가로 정렬과 세로 정렬을 변경하는 로직이 들어 있다. .t5, .t10 ~ .t95까지 너비를 정의하는 클래스도 있다. .table--bordered는 선이 있는 테이블에 사용한다. 줄무늬를 넣는 .table--striped와 글씨 크기를 작게 하는 .table--data도 있다.

Generic

  • brand : 사전 정의한 브랜드 글꼴과 색을 !important로 강제 적용하는 .brand, 글꼴만 강제적용하는 .brand-face, 색만 강제 적용하는 .brand-color가 들어 있다.
  • clearfix : float된 요소의 부모 높이가 0이 되지 않도록 처리해 주는 클래스다. HTML에 직접 쓰지 말고 Sass의 @extend 기능을 이용하라고 주석에 씌어 있다. 참고할 글로 The very latest new new way to do “clearfix”를 적어 놨다.
  • debug : _defaults.scss에서 $debug-modetrue로 설정한 경우 사용할 스타일들이 들어있다. 검사 항목은 다음과 같다.
    • imgalt 속성이 없으면 빨간색
    • imgalt 속성이 빈 문자열이면 노란색
    • ahref#만 있거나, javascript가 들어가 있으면 노란색
    • atarget 속성이 있으면 노란색
    • ulol의 바로 아래 li 외에 다른 게 들어가 있으면 빨간색
    • thscope 속성이 없으면 노란색
    • table 바로 아래 tr이 나오면 노란색 : theadtbody, tfoot이 있어야 함
    • tfoottbody 뒤에 나오면 노란색 : 앞에 나와야 함
    • formaction 속성이 없으면 빨간색
    • inputtype 속성이 없으면 빨간색
    • textarearows, cols 속성이 없으면 빨간색
    • input[type=submit]value 속성이 없으면 빨간색
    • inline style을 사용한 경우 노란색
    • id를 사용한 경우 노란색 : OOCSS에서는 스타일을 입히는 데 ID를 사용하지 않도록 한다.
    • inuit.css의 grid 클래스들을 잘못 사용한 경우 빨간색.
  • helper : !important가 붙은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는 클래스 모음. 적용하려는 요소에 기존 클래스가 있는 경우에는 이걸 사용하지 말고 기존 클래스에 스타일 속성을 추가하라고 말하고 있다.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 .float--left, .float--right, .float--none
    • .text--left, .text--right, .text--center
    • font-weight 관련, .weight--light, .weight--normal, .weight--semibold
    • 마진을 넣거나 제거 : .push--top, .push--right, .push--bottom, .push--left, .push--ends, .push--sides, .push-half, .push-half--top, .push-half--right, .push-half--bottom, .push-half--left, .push-half--ends, .push-half--sides, .flush, .flush--top, .flush--right, .flush--bottom, .flush--left, .flush--ends, .flush--sides. flush--*는 마진을 없애는 놈이다.
    • 패딩을 넣거나 제거 : .soft, .soft--top, .soft--right, .soft--bottom, .soft--left, .soft--ends, .soft--sides, .soft-half, .soft-half--top, .soft-half--right, .soft-half--bottom, .soft-half--left, .soft-half--ends, .soft-half--sides, .hard, .hard--top, .hard--right, .hard--bottom, .hard--left, .hard--ends, .hard--sides. soft--*는 패딩을 넣는 놈, hard--*는 패딩을 없애는 놈이다.
    • .full-bleed : .island 모듈이 부모의 여백(패딩)까지 채우면서 꽉 들어차게 만들어 준다는 것 같다.
    • .informative : 마우스 커서를 도움말 모양으로 만든다.
    • .muted : 투명도를 50%로 만든다.
    • .proceed : 글자 우정렬. ‘더 보기’처럼 뭔가 더 나아가는 놈들에게 사용.
    • .go : ‘더 보기’ 같은 것의 오른쪽에다 화살표 같은 걸 달아 준다.
    • .caps : 알파벳을 모두 대문자로 만든다.
    • .accessibility, .visuallyhidden, @include accessibility; : 접근성 용도로 만든 “본문으로 바로 가기” 같은 링크에 쓰는 놈. display:none을 쓰지 않고 화면에서 사라지게 만든다.
  • mixins : 말 그대로 Mixin들을 제공한다. Mixin은 Sass에서 함수처럼 사용하는 놈이다.
    • @mixin font-size($font-size, $line-height:true) : 글자 크기에 따라 적절한 줄높이를 제공한다. 적절한 줄높이란, 페이지의 다른 요소들과 줄이 어긋나지 않게 맞춰 주는 걸 뜻한다. 사실 이 외에도 줄을 맞추는 장치들이 많이 돼 있어서 만약 inuit.css를 일관되게 적용한다면 본문과 사이드바의 줄이 어긋나지 않게 된다.
    • @mixin headings($from: 1, $to: 6) : 특정 클래스 안에서 hx~hx의 스타일을 한꺼번에 정의.
    • @mixin vendor($property, $value...) : 스타일을 넣으면 vendor prefix를 한 번에 생성한다. @include vendor(border-radius, 4px); 식으로 사용.
    • @mixin keyframe ($animation-name) : keyframe을 모든 vendor prefix와 함께 생성. @include vendor(animation, shrink 3s); 식으로 사용.
    • @mixin truncate($truncation-boundary) : 말줄임표 적용.
    • @mixin arrow($arrow-edge, $arrow-location, $arrow-color, $border-color: $arrow-color) : CSS 화살표 생성. 설명이 길다. @include arrow(bottom, center, red, black) 식으로 사용.
    • @mixin media-query($media-query) : 미디어 쿼리 믹스인. @include media-query(palm){ [styles here] } 식으로 사용. 고정된 브레이크 포인트를 사용하는 건 별로 좋은 방법이 아니라고 부연하고 있다.
  • normalize : 그 유명한 normalize.css 맞다. CSS reset에 이걸 쓴다.
  • pull : grid에 사용하는 놈인 것 같은데 뭔진 모르겠다. 내부적으로 쓰는 건가.
  • push : 역시 grid에 사용하는 뭔지 알 수 없는 놈.
  • reset : normalize.css에서 더 필요한 reset이라고 한다. 설명은 Reset restarted.
  • shared : 모든 marginmargin-bottommargin-left만 남기게 만드는 놈. margin을 한 방향으로만 주면 편해 진다. 설명은 Single direction margin declarations.
  • widths : 모든 width 관련 클래스. .one-whole, .one-half, .one-third, .two-thirds, .one-quarter, .two-quarters, .three-quarters, .one-fifth, .two-fifths, .three-fifths, .four-fifths, .one-sixth, .two-sixths, .three-sixths, .four-sixths, .five-sixths, .one-eighth, .two-eighths, .three-eighths, .four-eighths, .five-eighths, .six-eighths, .seven-eighths, .one-tenth, .two-tenths, .three-tenths, .four-tenths, .five-tenths, .six-tenths, .seven-tenths, .eight-tenths, .nine-tenths, .one-twelfth, .two-twelfths, .three-twelfths, .four-twelfths, .five-twelfths, .six-twelfths, .seven-twelfths, .eight-twelfths, .nine-twelfths, .ten-twelfths, .eleven-twelfths.

Objects

  • arrows : 삼각형 그리는 거. mixin이라 예제가 없다.
  • beautons : 버튼. 유일하게 디자인이 들어가 있는 모듈이다.
  • block-list : 목록인데 세로로 쭉 쌓는 거.
  • breadcrumb : 브레드크럼.
  • columns : 다단. 물론 브라우저가 지원해야 한다.
  • flexbox : 테이블처럼 내용물에 따라 가로 너비가 늘었다 줄었다 하는 레이아웃. CSS3 flextbox를 지원하는 브라우저여야 지원될 거다.
  • flyout : 마우스 올리면 나타나는 놈. 드롭다운 메뉴 같은 거 만들 수 있다.
  • greybox : 그냥 회색 박스 만드는 놈이다. 프로토타이핑할 때 사용한다고 설명돼 있다.
  • grids : 앞서 본 것처럼 그리드 짤 때 쓴다.
  • icon-text : 아이콘 폰트를 사용할 때 쓰는 것 같다. 모듈에는 좌우 마진 스타일밖에 없다. inuit.css의 예제는 백그라운드 이미지가 들어가 있는데 실수인 듯하다. 백그라운드 이미지 아이콘 모듈은 sprite 모듈이기 때문이다.
  • island : 본문 중간에 구분을 해서 넣어야 하는 콘텐츠가 있는 경우가 있다. 기사라면 박스 기사 같은 것. 그런 걸 처리할 때 사용하는 놈이다. island 모듈 설명글도 있다.
  • link-complex : 링크에 마우스를 올렸을 때 특정 부분에만 밑줄을 긋고 싶을 때 쓰는 놈.
  • lozenges : 특정 단어에 둥그런 배경 혹은 네모난 배경을 칠하고 싶을 때 쓰는 놈.
  • marginalia : 본문 중간에 들어가는 부연설명 텍스트. marginalia라는 용어는 책의 여백에 설명이 들어가곤 하는 것에서 온 출판 용어다.
  • matrix : 격자를 짤 때 사용한다. 앞서 설명한 .multi-list도 이 모듈에 포함돼 있다.
  • media : 앞서 설명한 미디어 모듈. 이미지, 제목, 본문 일부 이렇게 넣을 때 정말 유용한 모듈이다.
  • nav : 각종 가로 내비게이션을 일반화해 둔 모듈. 앞에서 설명했다.
  • options : .nav와 함께 사용한다. 그러면 가로 내비를 외곽선과 구분선이 있는 옵션 모양으로 만들어 준다.
  • pagination : 페이지 번호 모듈.
  • rules : 가로선인 <hr>을 확장하는 모듈. 실선, 점선, 대시선이 포함돼 있다. .rule--ornament를 사용하면 선 가운데 장식이 들어간다.
  • split : 두 단어를 좌우로 떨어뜨려 놓을 때 사용하는 놈.
  • sprite : 스프라이트 이미지 모듈이다. 백그라운드 아이콘에도 사용할 수 있고, 예제는 백그라운드 아이콘 사용으로 돼 있다.
  • stats : 키-값 형태로 상태를 보여 줄 때, 숫자를 위에 올리고 레이블을 아래쪽에 표시해 주는 그런 스타일의 모듈.
  • this-or-this : 선택지 제공 스타일 모듈이라고. 예제를 보면 대충 뭔지 알 수 있는데, 쓸모가 있을지는 모르겠다.

간단 사용법

inuit.css는 Sass 기반으로 제작돼 있다. Sass는 CSS 전처리기(Preprocessor)다.

.my-class 
  background: red
  .my-class-child
    background: blue

이런 식으로 Sass 파일을 작성한 뒤 컴파일 명령을 내리면

.my-class {
  background: red; }
  .my-class .my-class-child {
    background: blue; }

이런 식으로 CSS가 나온다. 스타일을 작은 파일로 나눠서 관리하기도 편하고, minify된 CSS를 뽑기도 편하고, 변수 같은 걸 사용할 수 있어 편하다.

여튼, inuit.css는 Sass를 배워야 해서 약간의 진입장벽이 있긴 하지만, 이로 인해 장점이 크다. 설정 파일이 있는 것이다.

Sass 사용법은 따로 설명하지 않겠다. 한글로 된 설명 괜찮은 거 없나 하고 찾아 봤는데 간단히 볼 만한 건 없는 듯하다. Sass 공식 웹사이트에서 가이드를 보거나 구글에서 Sass Tutorial로 검색해서 아무거나 보면 될 거다.

Github에서 inuit.css를 다운받으면 _vars.scss 파일이 있다. 기본적으로 모든 모듈이 사용하지 않음으로 체크돼 있다. 이 중에서 사용할 모듈을 true로 바꿔 주면 된다. 모듈이니까.

/*------------------------------------*\
    $OBJECTS-AND-ABSTRACTIONS
\*------------------------------------*/
/**
 \* All of inuit.css’ objects and abstractions are initially turned off by
 * default. This means that you start any project with as little as possible,
 * and introducing objects and abstractions is as simple as switching the
 * following variables to `true`.
 */
$use-grids:         true;
$use-flexbox:       true;
$use-columns:       true;
$use-nav:           true;
$use-options:       true;
$use-pagination:    true;
$use-breadcrumb:    true;
$use-media:         true;
$use-marginalia:    true;
$use-island:        true;
$use-block-list:    true;
$use-matrix:        true;
$use-split:         true;
$use-this-or-this:  true;
$use-link-complex:  true;
$use-flyout:        true;
$use-arrows:        true;
$use-sprite:        true;
$use-icon-text:     true;
$use-beautons:      true;
$use-lozenges:      true;
$use-rules:         true;
$use-stats:         true;
$use-greybox:       true;

이렇게 전부 true로 변경하든지 하면 된다.

다음으로 inuit.css 폴더를 보면 _defaults.scss라는 파일이 있다. 이 안엔 글자 크기, 글꼴 같은 설정이 들어있다. 이걸 편집하면 된다.

반응형 설정 같은 것도 있다. 차근차근 보면서 하면 다 알 수 있다.

일단 소개는 이쯤에서 마쳐도 될 것 같다. Sass 튜토리얼과 inuit.css 간단 튜토리얼 같은 걸 써야 이 글이 실제로 의미를 가질 것 같다는 생각이 든다.

이상.

👇 카테고리 글 목록

,

대표글

댓글 남기기